우리 연구실 박해정 교수는 응용통계학과 전익훈 교수 팀과 아동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하는 보고와 아동이 하는 보고의 차이를 은닉 공간에서 모델링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아동과 부모의 서로 다른 시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PLOS One에 발표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CBCL) 및 청소년 자가 보고서(YSR), 아동의 행동 및 정서적 문제에 대한 부모 및 자가 보고 측정의 예를 통해 아동 및 부모 보고 측정 간의 잠재적인 교차 정보 불일치를 탐색하였습니다. LSIRM(Latent Space Item Response Model)을 사용하여 추정된 상호 작용 맵을 사용하여 부모와 아동 보고서 차이를 조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인터랙션 맵을 통해 기존의 접근 방식에서는 불가능했던 항목 간, 응답자 간, 항목과 응답자 간의 종속성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LSIRM은 CBCL 및 YSR에 대한 잠재 공간에서 항목과 응답자의 차등 위치를 캡처하고 종속 구조에 따라 각 응답자와 항목 간의 관계를 식별하였습니다. 결과는 LSIRM을 사용한 잠재 공간의 문항 응답 분석이 아동과 부모의 다양한 관점에서 얻은 응답 데이터에 내재된 차등 구조를 밝히는 데 유용함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는 또한 아동의 행동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아동의 숨겨진 구조와 부모의 반응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parent- and self-report measures with a latent space approach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9376
We explore potential cross-informant discrepancies between child- and parent-report measures with an example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and the Youth Self Report (YSR), parent- and self-report measures on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We propose a new way of examining the parent- and child-report differences with an interaction map estimated using a Latent Space Item Response Model (LSIRM). The interaction map enables the investigation of the dependency between items, between respondents, and between items and respondents, which is not possible with the conventional approach. The LSIRM captures the differential positions of items and respondents in the latent spaces for CBCL and YSR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respondent and item according to their dependent structur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item response in the latent space using the LSIRM is beneficial in uncovering the differential structures embedded in the response data obtain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differential hidden structures of children and parents’ responses should be taken together to evaluate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