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al Investigator
Hae-Jeong Park
Professor
연구실의 책임자인 박해정 교수는 연세 대학교 의과학 대학원, 의과대학 핵의학 교실, 대학원 협동과정 인지과학과에 소속한 뇌과학자로 fMRI, PET, EEG 등 다양한 형태의 뇌 측정 자료에 대한 정밀 분석 기법을 개발하고 뇌 시스템 과학, 계산 뇌과학, 뇌인지과학 응용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뇌 연구 분야에 연구 논문들을 활발히 발표하고 있는데, 확산텐서영상기반 인간 전체 뇌 신경 다발 지도 발표(2003) 이후 뇌연결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2013년 SCIENCE 저널에서 초대 받아 뇌의 구조-기능의 뇌 연결망 측면에서의 해석과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종설 논문 (Park and Friston, 2013)을 발표하는 등 뇌과학계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이론신경생물학과 계산신경과학을 접목한 뇌 동적 유효인과연결망 모델링 연구, 비선형 동역학 특성 연구 및 제어 연구들에 대해 논문을 발표하고 임상 뇌질환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뇌인지과학의 사회적 유용성을 높이는데 관심을 가지고 뇌영상에 기반한 인지과학, 신경 언어학 연구, 디자인 분야, 과학수사 응용 분야 등에 대한 연구를 논문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신경 예술에 남다른 조예가 있어서 연구 중에 생성한 시각적 결과물들이 여러 잡지 표지를 장식하기도 하였고 세계 최초로 신경 예술 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하였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계산 뇌 모델링과 이론 뇌과학에 근거하여 뇌 정신 질환의 치료 및 조절 기법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수면 다중신호측정 자동화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한 학위 과정 이후 지속적으로 뇌영상 정밀 분석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는데, 뇌파의 대뇌피질 활성 통계 분석 기법 최초 개발, 확산텐서 기반 인간 전체 뇌의 신경다발 세계 최초 발표, 신경핵의학 독립성분분석을 통한 진단 기법 최초 제시, 표면 기반 PET 영상 분석 기술 최초 발표 등 뇌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창의적 기술들을 발표하고 관련 프로그램들을 공개하여 기초 및 임상 뇌과학 증진을 도모해 왔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인간, 원숭이, 쥐의 다중 종 뇌영상 데이터로부터 구조 및 기능적 연결망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분석할 수 있는 뇌영상 빅데이터 마이닝 파이프라인인 MNET을 개발하였습니다. 뇌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인지조절 취약 집단의 인지 및 적응 기능 특성에 대한 조기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지 행동 모델링, 개인 적응 인지 행동 측정 기법을 연구 개발 중에 있으며, VR과 웹을 통한 인지,정서, 행동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여 응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뇌과학에서 출발한 인공지능 기법을 의료영상 진단에 적용하여 안과 망막 자동 진단, 귀 자동 진단, 뇌 질환 자동 진단에 관한 논문과 특허를 출원하고 의료진들에게 인공 지능을 교육하여 인공 지능의 의학 응용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임상 의학, 의공학, 통계학, 심리학, 인지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학 등 다양한 배경을 지닌 연구팀과 교류하며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을 즐기며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학제적이며 국제적 공동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되지 않았던 연구 분야, 연구되어야 할 뇌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Contact
Email: PARKHJ@yuhs.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