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실의 강지영 연구교수는 이번 PLos One 저널에 Graph-theoretical analysis for energy landscape reveals the organization of state transitions in the resting-state human cerebral cortex 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기존의 뇌연결망 연구가, 뇌영역간의 연결에 집중해 있었던 것과 달리, 상태 전이 프로세스를 분석하기 위해, 미시 상태 (뇌활동 패턴) 간의 연결망을 정의하여, 전이상태 연결망을 제안하였습니다. 즉, 미시상태의 확률분포를 바탕으로 국소최소점(고정끌개에 해당)과 국소최소점의 존재확률, 그리고 국소최소점간의 전이확률을 바탕으로, 어떤 국소최소점이 얼마나 존재할 수 있는지와 국소최소점에서 다른 국소최소점으로 상태전이시 거치는 미시상태들을 네트워크의 노드로, 각 노드간 이동을 전이확률을 가중링크로 표현하여 분석하여, 전이상태 연결망을 분석을 통한 뇌동역학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제안한 분석법을 휴지기 대뇌피질 시스템에 적용하여, 어떤 안정상태(뇌 활동패턴)들이 중간 상태로 존재하는 것, 다양한 상태 전이에 사용되는 허브 전이상태가 존재하는 것, 여러 개의 상태전이 패스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밝혔습니다.
상태간 전이를 표현하고 연결망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상태전이의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