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진의 이동하 박사와 박해정 교수 연구팀은 하바드 나이트 박사와 함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아동의 세부 유형에 따라 구조-기능 연결망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연구하여 PLOS One 저널에 발표하였습니다.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0295
[요약]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에서 부주의하고 과잉 행동-충동적 핵심 증상의 이질적 표현은 이 널리 퍼진 장애의 하위 유형 분할에 대한 기초로서 뇌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추가 조사를 보증합니다. Healthy Brain Network 데이터베이스의 확산 및 휴지 상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본 모드(DMN), 집행 제어(ECN)에서 구조적 및 기능적 네트워크 효율성과 구조-기능적 네트워크(SC-FC) 커플링을 모두 분석했습니다. 부주의 아형(ADHD-I), 결합 아형(ADHD-C) 및 일반적으로 발달 중인 어린이(TDC)로 진단된 201명의 소아에서 현저한(SAN) 고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TDC와 비교하여 ADHD 증상을 특성화하고 다음 간의 차이점을 테스트합니다. ADHD 아형. TDC에 비해 ADHD 아동은 DMN에서 구조적 연결성과 네트워크 효율성이 낮았지만 기능적 네트워크에서는 그룹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ADHD-C 아동은 TDC에 비해 모든 하위 네트워크에서 SC-FC 결합이 더 높았는데, 이는 인지 유연성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입니다. ADHD-C 그룹은 또한 ADHD-I 그룹에 비해 DMN에서 증가된 SC-FC 커플링을 보여주었습니다. SC-FC 커플링과 과잉행동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는 ADHD-I에서는 음수였지만, ADHD-C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현재 연구는 ADHD-C와 ADHD-I가 근본적인 신경 연결성과 관련하여 다를 수 있으며 과잉 행동의 추가 차원이 이러한 구별을 설명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The heterogeneous presentation of inattentive and hyperactive-impulsive core symptom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into brain network connectivity as a basis for subtype divisions in this prevalent disorder. With diffusion and resting-stat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ata from the Healthy Brain Network database, we analyzed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network efficiency and structure-functional network (SC-FC) coupling at the default mode (DMN), executive control (ECN), and salience (SAN) intrinsic networks in 201 children diagnosed with the inattentive subtype (ADHD-I), the combined subtype (ADHD-C),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C) to characterize ADHD symptoms relative to TDC an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ADHD subtypes. Relative to TDC, children with ADHD had lower structural connectivity and network efficiency in the DMN, withou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functional networks. Children with ADHD-C had higher SC-FC coupling, a finding consistent with diminished cognitive flexibility, for all subnetworks compared to TDC. The ADHD-C group also demonstrated increased SC-FC coupling in the DMN compared to the ADHD-I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SC-FC coupling and hyperactivity scores was negative in the ADHD-I, but not in the ADHD-C group.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DHD-C and ADHD-I may differ with respect to their underlying neuronal connectivity and that the added dimensionality of hyperactivity may not explain this distinction.